한국에서 개신교는 크게 복음주의, 개혁주의, 자유주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다양한 기준에 의해 더 많은 분류가 존재하고 각각의 분류에 있어 신학적 경계가 불분명할 때도 있지만, 위와 같이 분류하는데 큰 무리는 없습니다. 미국의 경우는 역사적 사회적으로 인종적 배경이 한국과는 다르고 이러한 특징이 기독교의 분류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미국의 기독교(개신교)는 다음과 같이 세 개로 분류됩니다.
Evangelical Protestants : 복음주의적 개신교
복음주의 개신교 교단들과 교회들은 개종과 전도를 강조하고, 성경적 권위를 존중하며, 더 넓은 문화와의 분리를 추구하는 경향이있다. Evangelical Protestantism은 복음 주의적 교단들과 각각의 교회들 그리고 개개인들 사이에는 분명한 변화가 있지만, 신학 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성격을 가진다고 여겨집니다. 대표적인 교단으로 미남침례교가 있습니다.
Mainline Protestants : 주류 개신교
주류 교단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경제적 정의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시각과 다양한 개인 신념에 대한 관용을 강조합니다. Mainline Protestantism은 복음 주의적 개신교보다는 신학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진보적 인 것으로 여겨지지만, 교단, 교회, 개개인간에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의 개혁적 또는 자유주의적 교단이 이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범주에 속한 대표적인 교단은 동생애 결혼을 인정한 미국장로교(PCUSA)와 PCUSA와 비슷하게 동생애 결혼을 인정하려고 하는 연합감리교회(UMC) 등이 있습니다. 이 밖에 개혁적 교단인 RCA 등도 있습니다.
Historically Black Protestant : 흑인 개신교
흑인 개신교 교회는 미국에서 주로 흑인 교회에 봉사하는 교회입니다. 최초의 흑인 교회는 18 세기에 흑인이 설립했습니다. 흑인 교회는 오랫동안 흑인커뮤니티의 중심지였으며 수많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