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널리틱스 활성 사용자(Active-user)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사용자 메트릭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실시간 사용자(real time user)이고 또 다른 하나는 활성사용자(active user)입니다.

실시간 사용자는 지금 사이트에 접속하는 사람들의 수를 보여주고 있는데 동일한 사용자가 여러 번 반복해서 사이트에 접속해도 실시간 사용자에는 표시가 됩니다. 즉 사용자의 중복 여부와 상관없이 지금 접속한 사용자 수를 무조건 표시합니다. 그런데 활성 사용자의 경우는 중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계산하지 않습니다. 즉 실시간 사용자와 활성 사용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중복을 고려하는지에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는 어떤 사이트의 구글 애널리틱스의 홈에 나오는 화면입니다. 여기서 나오는 사용자는 1일 옵션을 선택했을 경우 오늘 기준 0시부터 지금까지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수를 나타내는데 중복하여 사이트에 방문하는 경우는 계산되지 않습니다. 이처럼 중복된 경우를 제외한 접속한 수가 활성 사용자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분석에서 활성 사용자 수를 기간별로 볼 수 있고 그 수치가 나타내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별 활성 사용자 수 : 그날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수를 중복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보여줍니다.
  • 주별 활성 사용자 수 : 1주일 동안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수를 중복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보여줍니다.
  • 월별 활성 사용자 수 : 1달 동안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수를 중복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보여줍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지난 1주일 동안의 일별 활성 사용자 수를 더한 것이 주별 활성 사용자 수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지난 1주일 동안 반복해서 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 수는 주별 활성 사용자 수에 계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 원리로 월별 활성 사용자 수는 일별 또는 주별 활성 사용자 수를 단순하게 더해서 나오는 수치가 아닙니다. 즉, 각 기간별 활성 사용자 수는 각 기간별 순방문자 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이트에 중복으로 방문하는 빈도가 높은 사용자들이 많은 경우 주별 월별 활성 사용자 수치를 보면 일별 활성 사용자 대비 사용자가 적다가 느낄 수가 있습니다.

정리하면 활성 사용자 수는 중복방문하는 경우를 제외한 순방문자 수이고, 실시간 사용자 수는 중복방문을 고려하지 않고 현재 방문한 수를 보여주는 수치입니다.